역대 영화제
영화제 기간
2021년 6월 3일(목)~6월 9일(수), 7일간
상영관
서울환경영화제 공식 홈페이지, 메가박스 성수, MBC TV, Btv
상영작품
25개국 65편
개막작
<우리는 누구인가 Who We Were>
섹션
국제환경영화부문
한국환경영화부문
에코볼루션: 세상을 바꾸는 방법
기후위기, 기후비상, 기후재앙
이야기하는 풍경
폐허를 짓는 동안에
지구가 동날 때까지
공존하는 세상
지구별 놀이터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특별전
TV 스폐셜

영화제 기간
2020년 7월 2일(목)~ 7월 15일(수), 7일간
상영관
서울환경영화제 공식 홈페이지, JTBC채널, 메가박스 성수
상영작품
27개국 57편
개막작
<라야의 어린 스님>
섹션
국제경쟁
한국경쟁
2020 포커스 – 에코 어스
인류세: 불타는 문명의 연대기
공존의 낙원
쓰레기로 만든 집
기후위기, 생태위기
자원의 종말
지속의 가능성
특별 상영 – 이강길 감독 추모전

영화제 기간
2019년 5월 23일~ 5월 29일(7일간)
상영관
서울극장 5, 10, H, 7관
상영작품
24개국 59편
개막작
<아쿠아렐라>
섹션
국제경쟁
한국경쟁
에코 스피릿 1: 요나스 메카스 추모전
에코 스피릿 2: 오기가미 나오코 특별전
2019 에코 포커스: 플라스틱 제국의 종말
에코 밥상으로의 초대
에코-ing
에코 플래닛
에코 폴리티카
블랙 아시아
에코 그라운드
특별상영

영화제 기간
2018년 5월 17일 ~ 23일 (7일간)
상영관
서울극장 2, 5, 10, H관, 세운옥상
상영작품
24개국 51편
개막작
<창세기 2.0>
섹션
국제환경영화경선
한국환경영화경선
유토피아 디스토피아
에코 밥상으로의 초대
꿈꾸는 사람들
창백한 푸른 점.공존
일본영화특별전
가족의 모든 것
영화는 영화다

영화제 기간
2017년 5월 18일 ~ 24일 (7일간)
상영관
이화여대 ECC 삼성홀, 아트하우스 모모 1, 2관
상영작품
24개국 51편
개막작
<유령의 도시>
섹션
국제환경영화경선
한국환경영화경선
기후변화
탈핵
포커스 – 새로운 환경 운동을 위하여
제리 로스웰 특별전
UMFF 초이스
특별상영
지속가능한 삶

영화제 기간
2016년 5월 6일 ~ 12일 (7일간)
상영관
씨네큐브, 인디스페이스, 스폰지하우스, 서울역사박물관 및 광장 일대
상영작품
40개국 85편
개막작
<다음 침공은 어디?>
섹션
국제환경영화경선
한국 환경영화의 흐름
지속가능한 삶
공존의 삶
문명의 저편
포커스-세계화의 오늘
포커스-쟁점 2016
에코그라운드

영화제 기간
2015년 5월 7일 ~ 14일 (8일 간)
상영관
씨네큐브, 서울역사박물관, 인디스페이스, 서울시민청바스락홀
상영작품
47개국 113편
개막작
<사랑해, 리우>
섹션
국제환경영화경선
그린파노라마
그린파노라마-Action4Climate
한국 환경영화의 흐름
중남미 환경영화특별전
포커스-또 다른 사회
포커스-다시 보는 농사
지구의 아이들
동물과 함께 사는 세상
다시 보는 GFFIS 화제작

영화제 기간
2014년 5월 8일 ~ 15일 (8일 간)
상영관
씨네큐브, 인디스페이스, 서울역사박물관 및 광장 일대
상영작품
111편 상영
개막작
<킹 오브 썸머>
섹션
국제환경영화경선
그린파노라마
그린파노라마-에코스릴러
그린파노라마-오래된 미래
널리 보는 세상 널리 보는 세상 - 그린 아시아
한국 환경영화의 흐름
한국 환경영화의 흐름 - 포커스
지구의 아이들
동물과 함께 사는 세상

영화제 기간
2013년 5월 9일 ~ 16일 (8일 간)
상영관
연세대학교 백양콘서트홀, CGV 용산, 현대 I'PARK mall
상영작품
개막작
<프라미스드 랜드>
섹션
개막작
국제영화경선
기후변화와 미래
기후변화와 미래 expanded - 왜 우리는 빈곤한가?
기후 변화와 미래 plus - 주사위놀이: 유기농과 GMO
그린 파노라마
그린 파노라마 beyond– 후쿠시마, 그날 이후
한국 환경영화의 흐름
지구의 아이들
동물과 함께 사는 세상
캐나다환경영화전 - 북극, 사라지는 빙하

영화제 기간
2012년 5월 9일 ~ 15일 (7일 간)
상영관
마포아트센터 아트홀 맥(개막식), CGV 용산
상영작품
27개국 112편
개막작
<쓰나미, 벚꽃 그리고 희망>
섹션
국제환경영화경선
포커스 2012: 후쿠시마, 그리고 그 이후의 이야기들
기후 변화와 미래&기후 변화와 미래 plus
그린 파노라마&그린 파노라마 에코판타스틱
한국 환경영화의 흐름
지구의 아이들
동물과 함께 사는 세상
프랑스환경영화전
시네마 그린틴

영화제 기간
2011년 5월 18일 ~ 25일 (8일 간)
상영관
연세대학교 백주년기념관 콘서트홀(개막식), CGV 상암
상영작품
42개국 143편
개막작
<미안해, 고마워>
섹션
국제환경영화경선
쟁점 2011: 핵, 원자력, 에너지 소비의 그늘
기후 변화와 미래
세계 환경영화의 흐름
한국 환경영화의 흐름
지구의 아이들
동물과 함께 사는 세상
사막화냐 숲이냐
에코 판타스틱

영화제 기간
2010년 5월 19일 ~ 26일 (8일 간)
상영관
롯데시네마 에비뉴엘(명동) 1,2,3관
상영작품
30개국 107편
개막작
<워터라이프>
섹션
국제환경영화경선
쟁점 2010: 먹는 물, 파는 물, 흐르는 물
기후 변화와 미래
널리 보는 세상
한국 환경영화의 흐름
지구의 아이들
동물과 함께 사는 세상
액션! 지구를 지켜라
환경 키워드로 다시 보기
환경재단 그린 아카이브 걸작선

영화제 기간
2009년 5월 21일 ~ 27일 (7일 간)
상영관
CGV 상암 3개관(3,4,5관)
상영작품
36개국 134편
개막작
<북극의 눈물>
섹션
국제환경영화경선
널리 보는 세상
한국 환경영화의 흐름
지구의 아이들
쟁점 2009: 에너지, 위기와 대안
기후 변화와 미래
동물과 함께 사는 세상
WWF: 살아있는 지구를 위하여
먹을거리에 담긴 진실과 거짓말

영화제 기간
2008년 5월 22일 ~ 28일 (7일 간)
상영관
CGV 상암
상영작품
36개국 157편
개막작
<지구>
섹션
국제환경영화경선
널리 보는 세상
한국 환경영화의 흐름
지구의 아이들
지구전(地球戰) 2008 : 태안, 그리고 생명의 요람 바다
기후 변화와 미래
동물과 함께 사는 세상
자연의 빛깔, 지구의 소리
NHK 환경 다큐멘터리 특별전
시에라 클럽 특별전
문명의 저편
에코 스릴러: 자연의 역습

영화제 기간
2007년 5월 17일 ~ 5월 23일 (7일 간)
상영관
세종문화회관 대극장(개막작), CGV 상암(3개관)
상영작품
23개국 112편
개막작
<SOS – 우리를 구하는 단편영화>
섹션
개막작
국제환경영화경선
널리 보는 세상
한국 환경영화의 흐름
환경영화 사전제작지원
지구의 아이들
지구전(地球戰) 2007 : 지구 온난화와 기후 재앙
대선전(大選前): 에코 폴리티카
그린피스, 무지개의 전사들
양심 있는 창작: 프리 레인지 스튜디오
야생의 숨결
속 깊은 동물 친구
자연의 빛깔, 지구의 소리

영화제 기간
2006년 5월 4일 ~ 5월 10일 (7일 간)
상영관
스타식스 5, 6관, 서울역사박물관, 이화여고 백주년 기념관
상영작품
28개국 108편
개막작
환경옴니버스영화 <9시 5분>
섹션
개막작
국제경선
널리보는 세상
지구의 아이들
테마전2005: 핵의 테마
회고전: 레스 블랭크
특별상영: TV환경다큐멘터리
GFFIS와 SBS공동제작방송댜큐: <0.6°의 재앙>
환경영화사전제작지원-청소년부문

영화제 기간
2005년 9월 8일 ~ 9월 14일 (7일 간)
상영관
씨네큐브 광화문, 스타식스 정동, 서울역사박물관
상영작품
34개국 114편
개막작
<키아로스타미의 길>
섹션
개막작
국제경선
널리보는 세상
지구의 아이들
테마전2005: 핵의 테마
회고전: 레스 블랭크
특별상영: TV환경다큐멘터리
GFFIS와 SBS공동제작방송댜큐: <0.6°의 재앙>
환경영화사전제작지원-청소년부문

영화제 기간
2004년 10월 22일 ~ 10월 26일 (5일 간)
상영관
씨네큐브 광화문, 스타식스 정동 5, 6관 서울역사박물관
상영작품
19개국 99편
개막작
<1,3,6> <소나기는 그쳤나요?> <깃> <뫼비우스의 띠-마음의 속도>
섹션
개막작
널리보는 세상
지구의 아이들
환경영화경선
테마 기획전 - 나무
회고전: 츠치모토 노리아키 감독
특별상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