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포커스_그린스토리텔링 체크리스트 GREEN STORYTELLING CHECKLIST
페이지 정보
본문
GREEN STORYTELLING CHECKLIST
그린 스토리텔링 체크리스트
A tool provided by the Green Storytelling Initiative , designed for screenwriters, dramaturgs, producers, broadcasters, and other key decision-makers,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ecological impacts of their narratives and productions from the earliest stages of script development. 그린 스토리텔링 이니셔티브에서 제공하는 도구로, 시나리오 작가, 드라마터그, 프로듀서, 방송사 및 기타 주요 결정권자들이 대본 개발 초기 단계부터 이야기와 제작이 미치는 생태학적 영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What we want 우리가 지향하는 바
Inspiration and Support: We want to inspire and support the creative minds in the film industry - whether as writers, producers or in other key roles -without compromising their artistic freedom.
영감과 지원: 우리는 영화 산업에 종사하는 창의적인 이들이, 작가이든 프로듀서이든 혹은 다른 핵심 역할을 맡고 있든, 예술적 자유를 침해받지 않으면서도 지속가능한 창작을 할 수 있도록 영감을 주고 지원하고자 한다.
Developing‚ 'Green' Narratives: Our aim is to provide food for thought and highlight opportunities to realize film productions sustainably and consciously from the outset.
'그린' 내러티브 개발: 우리는 창작자들에게 사고의 전환을 제안하고, 영화 제작을 처음부터 의식적으로 그리고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실현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Harnessing the Power of Storytelling: We believe in the power of stories to evoke emotions and initiate change in the world. Stories should touch people's hearts and inspire positive transformation.
스토리텔링의 힘 활용: 우리는 이야기가 감정을 불러일으키고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 이야기는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고, 긍정적인 변화로 이어져야 한다.
Authentic Portrayal of Pressing Issues: We want stories to address issues such as climate change and sustainable lifestyles in a cliché-free and authentic manner to emphasize their urgency and inspire action.
긴급한 주제의 진정성 있는 표현: 기후 변화나 지속 가능한 삶의 방식 같은 긴박한 문제들을 클리셰 없이, 진정성 있게 다루는 이야기를 통해 그 시급함을 강조하고 실질적인 행동을 유도하고자 한다.
What we don‘t want 우리가 지양하는 바
Restriction of Artistic Freedom: We do not want creative minds to feel restricted in their expression or their ideas.
예술적 자유의 제한: 우리는 창의적인 사람들이 자신들의 표현이나 아이디어에 제약을 느끼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
Superficial or Clichéd Portrayals: We do not strive for stories that treat important issues such as climate change and sustainability in a superficial or clichéd way.
피상적이거나 진부한 접근: 기후 변화나 지속가능성처럼 중요한 주제를 피상적으로 다루거나 클리셰에 기대는 방식의 이야기를 지향하지 않는다.
Be part of it 함께해 주세요
We regard this document as dynamic and changeable. Your feedback is therefore not only welcome, but essential (please email dordel@filmbuero-nds.de). Let‘s experiment together. Good luck with your creative processes!
이 문서는 유동적이며 계속해서 발전해나갈 수 있는 자료다. 여러분의 피드백은 언제든지 환영이며, 나아가 필수적이다. (의견은 dordel@filmbuero-nds.de 로 보내 주세요)
함께 실험해봅시다. 창작 과정에 행운이 함께하길!
GREEN STORYTELLING INITIATIVE 그린 스토리텔링 이니셔티브
| |
Christiane Dopp
MOIN Film Fund
Dr. Julia Dordel
Writer, Producer, Board Member Film & Medienbüro
Niedersachsen e.V.
Judith Gridl
Writer, Journalist, Bayerischer Rundfunk
Julia Hoepfner
nordmedia– Film- und Mediengesellschaft
Niedersachsen/Bremen mbH
|
Judith Niemeyer
Producer/Federal Association of
Green Film & TV Consultants Deutschland e.V.
Ron Kellermann
Dramaturg
Dr. Maike Sarah Reinerth
Film/Media Scientist,
Film University Babelsberg KONRAD WOLF
|
A Definition of “Green Storytelling“ 그린 스토리텔링(Green Storytelling)의 정의
Green Storytelling is an approach within filmmaking that focuses on integrating climate change, biodiversity, environmental protection themes and sustainability practices into the narrative. It can be divided into three main components.
그린 스토리텔링은 영화 제작 과정에서 기후 변화, 생물다양성, 환경 보호, 지속가능성 실천 등의 주제를 서사 구조 안에 통합하는 접근 방식이다. 이 개념은 다음의 세 가지 주요 요소로 나눌 수 있다:
1. Pragmatic Green Storytelling (Sustainable Screenplay Decisions)
실용적 그린 스토리텔링 (지속 가능한 시나리오 결정)
Screenplay decisions, for example with regard to filming location and time, set-design and special effects, are made sustainably to positively impact the CO2 and energy balance of the production. (Overlap with Green Producing)
촬영 장소나 시기, 세트 디자인, 특수효과 등 시나리오의 여러 요소들을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결정하여 제작 과정에서의 탄소 및 에너지 균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도록 한다. (그린 프로듀싱과 일부 겹치는 영역이다)
2. Implicit Green Storytelling (Character Behavior & Visual Imagery)
암시적 그린 스토리텔링 (캐릭터의 행동 및 시각적 이미지)
Integration of environmental and sustainability issues into stories without explicitly addressing or foregrounding these issues. The setting and/or actions of the characters are sustainable: wind turbines are visible in the background, the characters use environmentally friendly means of transportation, choose reusable materials, reduce waste, save energy, prefer sustainable food, advocate for nature conservation and consume responsibly, etc.
환경과 지속가능성 관련 이슈들을 직접적으로 언급하거나 부각하지 않으면서도, 이야기 속에 자연스럽게 통합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배경에 풍력 터빈이 보이거나, 캐릭터들이 친환경 교통수단을 사용하고, 재사용 가능한 물건을 선택하며, 에너지를 절약하고, 지속 가능한 식품을 소비하거나 자연 보호 활동을 하는 등의 방식이 있다.
3. Explicit Green Storytelling (Thematic Integration)
명시적 그린 스토리텔링 (주제 통합)
Themes such as climate change, biodiversity, environmental protection, ecofriendly innovations and sustainability are explicitly integrated and creatively told in feature films, series and other formats. These themes are foregrounded and directly affect the protagonists.
Green Storytelling serves not only to raise awareness of environmental issues, but also to minimize the ecological impact of filming the script. It can also be used to create deep, complex and realistic characters that inspire and provoke thought in the audience.
기후 변화, 생물다양성, 환경 보호, 친환경 기술 혁신, 지속가능성 등의 주제를 영화, 시리즈, 기타 포맷에 명확하게 통합하고 창의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해당 주제들은 서사의 중심에 위치하며, 주인공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그린 스토리텔링은 단순히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그치지 않고, 시나리오 단계에서의 생태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에도 기여한다. 또한, 깊이 있고 복합적이며 현실적인 캐릭터를 창조함으로써 관객에게 영감을 주고 사고를 자극하는 도구로도 작용할 수 있다.
The Green Storytelling Checklist was developed by Dr. Julia Dordel as part of the Green Storytelling Initiative, a working group of screenwriters, dramaturgs, producers, scientists and funding commissioners, and is being further developed in dialogue with the industry. 이 그린 스토리텔링 체크리스트는 Dr. Julia Dordel이 그린 스토리텔링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개발한 것으로, 이 이니셔티브는 시나리오 작가, 드라마터그, 프로듀서, 과학자, 기금 담당자 등이 함께하는 작업 그룹이다. 이 체크리스트는 현재 업계와의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더욱 발전되고 있다. |
Green Storytelling in the Narrative Structure and Elements of the Story
스토리 구조와 요소에서의 그린 스토리텔링
This checklist serves as a tool for screenwriters, dramaturgs, producers, broadcasters and other decision-makers to integrate environmentally friendly issues and practices into their work and consider the ecological impact of their stories.
이 체크리스트는 시나리오 작가, 드라마터그, 프로듀서, 방송사 및 기타 주요 결정권자들이 작업 과정에 친환경적 이슈와 실천을 통합하고 이야기의 생태적 영향을 고려할 수 있도록 돕는 도구이다.
Pragmatic Green Storytelling (Sustainable Storytelling Decisions)
실용적 그린 스토리텔링 (지속가능한 스토리텔링 결정)
□ 1. Does the script allow for the choice of easily accessible or locally available shooting locations to reduce travel and CO2 emissions?
□ 2. Does the script limit the story to a small number of shooting locations?
□ 3. Does the story take place at times of the year and/or day that allow for resource-efficient filming, such as the use of natural light, and no heating, etc.?
□ 4. Does the script avoid or reduce the use of environmentally harmful special effects?
□ 5. Does the script allow for the use of used and/or reusable costumes?
□ 6. Does the script allow for the use of existing filming locations with minimal equipment to reduce set construction and associated environmental costs?
□ 1. 시나리오가 접근이 용이하거나 지역 내에서 가능한 촬영 장소를 선택하여 이동 및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가?
□ 2. 이야기가 소수의 촬영지로 제한되어 있는가?
□ 3. 자연광을 활용하거나 난방이 필요 없는 계절/시간대 등 자원 효율적인 촬영이 가능한 시기 설정이 되어 있는가?
□ 4. 환경에 해로운 특수효과의 사용을 피하거나 줄이고 있는가?
□ 5. 중고 또는 재사용 가능한 의상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가?
□ 6. 최소한의 장비만으로 활용 가능한 기존의 장소를 활용함으로써 세트 제작 및 관련 환경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가?
Implicit Green Storytelling (Character Behavior)
암시적 그린 스토리텔링 (캐릭터의 행동)
□ 1. Do characters use sustainable means of transport, such as (cargo) bikes, public transport or trains?
□ 2. Do characters choose reusable materials, such as glass bottles instead of plastic?
□ 3. Does the script show examples of waste prevention or recycling?
□ 4. Are characters portrayed saving energy?
□ 5. Do characters opt for vegetarian or vegan meals and/or buy locally grown, organic food?
□ 6. Do characters buy consciously, avoid unnecessary consumption or support environmentally friendly companies?
□ 7. Do characters use environmentally friendly alternatives in their daily lives?
□ 8. Do the characters operate in a society or story world that acknowledges environmental problems and/or makes solutions visible, e.g. solar and wind energy, sustainable building methods or an extended public transport system?
□ 1. 캐릭터가 (화물용 포함) 자전거나 대중교통, 기차 등 지속가능한 이동 수단을 사용하는가?
□ 2. 캐릭터가 플라스틱 대신 유리병 등 재사용 가능한 물품을 선택하는가?
□ 3. 쓰레기를 줄이거나 재활용하는 예시가 이야기 안에 포함되어 있는가?
□ 4. 캐릭터가 에너지를 절약하는 모습으로 그려지는가?
□ 5. 캐릭터가 채식이나 비건 식단을 선택하거나 지역 유기농 식재료를 소비하는가?
□ 6. 캐릭터가 의식적인 소비를 하거나 불필요한 소비를 피하고 환경 친화적인 기업을 지지하는가?
□ 7. 캐릭터가 일상에서 친환경적인 대안을 사용하는가?
□ 8. 캐릭터들이 존재하는 사회나 세계관이 환경 문제를 인식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태양광·풍력 에너지, 지속가능한 건축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