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이벤트
감독의 한마디 (DM)
국내외 감독의 인사말과 작품 소개 영상
*해당 이벤트는 개별 작품 상영 전 송출됩니다.
- <애니멀>, 시릴 디옹
- <개미와 베짱이>, 라즈 파텔, 잭 파이퍼
- <홀구트>, 리스베트 드 쾰라에르
- <노르웨이 기후 재판>, 류네 덴스타 렝그로우
- <제로를 넘어서>, 네이선 하비
- <녹색과 거짓말>, 줄리아 반스
- <사라지는 유목민>, 웨이성저
- <보이지 않는 위협>, 라울 자인
- <아옹다옹>, 김본희
- <바캉스 타운 마갈루프>, 미겔 앙헬 블랑카
- <오시카무라에 부는 바람>, 김명윤
- <아주 오래된 미래도시>, 조은성
- <우리보다 큰>, 멜라티 위즌 (출연자)
- <공존과 멸종>, 글로리아 판크라치, 엘레나 진
- <지평선>, 에밀리 카르팡티에
- <유칼립투스>, 파비오 나시멘토, 잉그리드 파드네스
- <우리의 방주>, 데니즈 토르툼, 캐스린 해밀턴
- <피아노 프리즘>, 오재형
- <아마존의 수호자>, 알렉스 프리츠
- <친절한 인간, 해변과 바다거북>, 야코포 파티에르노
- <플라스틱 표류기>, 슈테펀 크로네스
- <하울아웃>, 예브게니아 아르부가예바, 막심 아르부가예브
- <그만 좀 하소>, 심영화
- <비인간인격체>, 알렉스 케야르, 라파 G. 산체스
- <사미차이, 행복을 찾아서>, 마우리시오 프랑코 토소
관객과의 대화 (GT)
감독 및 관계자에게 듣는 생생한 작품 이야기
- 장소: 메가박스 성수 1관 (M1)
6.3(금)
- 11:00 <아주 오래된 미래도시>, 조은성
- 14:00 <피아노 프리즘>, 오재형
- 17:00 <철선>, 김지곤
6.4(토)
- 11:00 <그만 좀 하소>, 심영화
- 14:00 <계절이 지나가는 하늘에는>, 고한벌
- 17:00 <오시카무라에 부는 바람>, 김명윤
6.5(일)
- 11:00 <206: 사라지지 않는>, 허철녕
- 14:00 <시인들의 창>, 김전한
에코토크 (ET)
작품 주제와 관련하여 환경 전문가에게 듣는 깊이 있는 환경 이야기
피플: 피하자 플라스틱!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를 다룬 <플라스틱 표류기> 상영 후, 시민사회 대표자와 전문가, 기업가들로부터 문제 해결 방법에 대해 들어보는 자리를 마련한다.
- 일자: 6.3(금) 14:00 <플라스틱 표류기> 상영 후
- 장소: 메가박스 성수 2관 (M2)
- 참가자
고금숙 알맹상점 대표, 시민환경활동가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 소장
조성민 한솔제지 상무
이종혁 SK지오센트릭 부사장
에코크리에이터와 함께
청소년 감독들과 함께하는 환경영상 제작 비하인드 스토리
- 일자: 6.5(일) 17:00 <특별 상영: 에코크리에이터> 상영 후
- 장소: 메가박스 성수 1관 (M1)
멸종을 막는 채식
우리의 식생활이 정말로 멸종을 부르고 있는 것일까? 줄리안 퀸타르트를 비롯한 ‘월요일의 채식토크’ 팀과 함께 세상을 구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 채식에 대해 이야기해보는 시간!
- 일자: 6.5(일) 19:30 <우리의 식생활, 멸종을 부르다> 상영 후
- 장소: 메가박스 성수 1관 (M1)
- 참가자
줄리안 퀸타르트 환경을 사랑하는 벨기에에서 온 방송인. 유럽연합 기후행동 친선 대사.
초식마녀 동물과 같은 언어를 사용하고 싶어서 ‘초식’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스스로에게 용기를 주기 위해 ‘마녀’라는 이름을 붙였다. SNS에서 꾸준히 비거니즘을 알리는 만화와 영상을 만드는 그림 작가이자 유튜버.효비건 지속 가능한 삶을 지향하는 직장인 ‘효비건’으로 활동하며, 인스타그램을 통해 매일의 채식을 기록한다.
진원석 건강한 지구에 살고 싶어하는 영화감독이자 스토리텔러
에코포럼 (EF)
다양한 환경 주제에 대해 전문 패널들과 함께 논의하는 자리
세계청소년기후포럼
미래를 이끌어갈 청소년들과 함께 나누는 기후위기 이야기
- 일자: 6.4(토) 14:00 <우리보다 큰> 상영 후
- 장소: 메가박스 성수 2관 (M2)
- 주제: 기후위기 세대가 제안하는 미래
- 사회자: 줄리안 퀸타르트
- 주관: 환경재단, 서울시 교육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