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의 평화 염원하는 위로의 영화제들이 온다

코로나19 장기화와 꺾이지 않는 확산세로 지난해에 대부분 축소, 비대면 전환됐던 국내 영화제들이 전주국제영화제를 기점으로 잇달아 순조롭게 마무리하거나 개최를 준비 중이다.

상영관 내 거리 두기와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한 규모 축소로 예년에 비해 상영작 및 일정을 축소-조정하기도 했지만, 온-오프라인 병행과 다양한 플랫폼을 활용한 관객과의 만남 등 영화제 본연의 의도를 살리면서도 팬데믹과 스마트 시대에 걸맞은 대응을 마련하고 나섰다.

 전주국제영화제 온라인 GV 현장

▲ 전주국제영화제 온라인 GV 현장 ⓒ 오상환

지난 4월 29일부터 열흘간 정상 개최한 22회 전주국제영화제는 극장 상영 회차 93.3% 매진, 온라인 관람, 전년 대비 81% 증가라는 고무적인 성과를 낳았다. 2020년 주요 영화제 중 처음으로 비대면 개최를 선언한 전주국제영화제의 성공적인 마무리는 이후 개최를 준비중이던 다른 영화제들에도 영향을 미친 모양새다.

철저한 방역, 대면 최소화를 위한 다양한 강구책과 영화의 본질에 집중하며 온라인 GV와 마스터 클래스 등을 통해 영화 담론에 대한 갈증을 충족시켰다. 영화제 막바지 관객의 코로나19 확진으로 빨간 불이 켜졌으나 발빠른 대처로 불안을 가라앉히며 ‘영화는 계속된다’는 영화제 슬로건에 걸맞은 의지를 증명했다.

 제9회 디아스포라영화제 현장 안내 부스

▲ 제9회 디아스포라영화제 현장 안내 부스 ⓒ 오상환

올해로 9회를 맞은 디아스포라영화제도 5월 21일부터 사흘간 개최됐다. 2015년부터 5년간 이어온 인천아트플랫폼 상영 대신 작년부터 CGV인천연수로 장소를 옮겨 규모와 일정을 줄이고, 디아스포라의 의미에 부합한 영화 상영과 관객과의 만남에 주력했다.

특히 올해는 다양한 형태의 이주와 성소수자들의 정체성을 심도있게 다룬 수작들에 집중해 영화적 성찰의 기쁨을 선사했다는 평가다. 또한 야외 광장을 활용한 텐트 영화관, 자전거 식당 등의 부대행사를 통해 다름과 공존, 환경에 관한 논의에 관객들이 보다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

 서울환경영화제 현장 안내 부스

▲ 서울환경영화제 현장 안내 부스 ⓒ 오상환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작년부터 극장 상영을 이틀로 줄인 서울환경영화제는 올해도 이틀간의 극장 상영과 디지털 상영, TV 방영으로 관객들과 만났다. 비록 환경영화제의 오랜 전통인 참여 행사는 적었지만, 다양한 플랫폼을 활용한 관객들과의 만남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올해는 이탈리아 모더니즘의 거장이자 공간의 시네아스트인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특별전을 마련, 열 편의 대표작을 극장과 디지털로 상영해 시네필들의 환영을 받았다. 그밖에 하라 카즈오, 조너선 노시터 등 거장들의 다큐, 개발과 자본의 그늘에 집중한 한국 다큐 수작들로 환경영화의 범주를 확장해 눈길을 끌었다.

2021-7-01